등반..등산..

비슬산..(140216)

금강(임보규) 2014. 2. 17. 13:28

1. 산행지 : 비슬산..

2. 일   시 : 14, 02, 16 (일)..

3. 참석자 : 나홀로..

4. 산행내용 :

               - 지난번 최단장과 함께했던 비슬산은 우중에..오리무중속에..제대로 본것이 없어..지난코스를 역으로 올라..도성암으로 하산하다..

               - 절벽인 병풍덤 아래를 지나며..지도상의 석불은 아무리 찾아 봐도 없다..아마도 삐쭉삐쭉한 자연바위를 석불상이라 하는듯 하다..

               - 하산길 도성암 가는길은..철조망으로 막아놓아..월담..스님께 양해를 구하고 통과했으나..절아래 주차장에서 보니..좌측으로 등산로가 있다..

                  막아놓은 지점 아래에..도성암으로 가는 갈림길이 있겠다..

               - 반짝 포근한 겨울날..맑은 날이나..정상부엔 차가운 바람이 분다..원경은 아스라 하다..

               - 등로는 양지녁은 질퍽하고..음지에는 눈이 많아 조심조심 하산..대구쪽으론 눈이 많아 아이젠들을 하고 올랐단다..

 

5. 산행코스 :

                주차장(10:35) -> 유가사(10:50) -> 대견사삼거리(11:20) -> 마령재삼거리(11:35) -> 병풍덤(12:20)..중식 -> 비슬산정상(14:05) ->

                도성암(16:00) -> 수도암(16:30) -> 유가사(16:35) -> 주차장 원점(16:50)..산행종료..약6시간15분 소요..

 

6. 산행지도(파란점)

 

주차장에서...

 

일주문 지나..

 

 

유가사로..

 

 

경내로 들어가..

 

 

 

 

절 우측의 들머리로 간다..

 

 

시작은 완만..양지바른 곳이라 등로가 쾌적하다..

 

 

계곡은..잔설..

 

대견사삼거리..직진..

 

 

 

병풍덤..

 

마령재삼거리..비슬산정상으로 좌회전..

 

이후론 그늘은 눈길이다..

 

병풍덤 하단쯤가니..조화봉이 보이며..참꽃군락지가 눈에뵈기 시작한다..

 

병풍덤 하단부의 급경사..

 

병풍바위다..

 

조화봉..대견사..진달래평원..

 

병풍덤의 바위에서..

 

이바위를..석불상이라 하는듯 하다..??

 

 

 

탁트임이..호쾌하다..

 

마령재..조화봉..

 

전망정 바위 하단부를 끼고 돌아가니..양지바른 밥자리다..

 

 

 

그리로도 길이있어..올라가니..지난번 최단장과 밥먹던 자리로 올라선다..

 

 

현풍의 낙동강이 구비구비..아스라 하다..

 

전망정 바위에서..

 

지난번 오리무중이라..못봤던..전경..

 

 

 

비슬산 정상부..

 

 

유가사쪽..

 

관기봉쪽..

 

조화봉쪽..

 

정상부..

 

 

 

 

 

 

 

 

 

 

 

 

 

원없이 보고..도성암으로..하산 시작..

 

대구 앞산쪽..

 

하산길..

 

 

돌아보고..

 

도성암으로 직진..

 

북쪽은 눈길이다..

 

도통바위로..

 

 

 

잠시 쉬어가며..

 

도성암으로 월담..

 

 

도성암..

 

도통바윈데..능선상에서는 가늠이 안된다..

 

 

 

 

 

암자앞 주차장 오니..좌측으로 등산로 표시가 있다..

 

이후 임도를 따라 하산..

 

 

 

 

 

 

30분 내려서니..지난번 올랐던..능선치는 들머리다..

 

 

수도암에서..

 

유가사로..

 

 

 

 

주차장으로..원점..산행을 종료했다..

 

 

2007년 4월에..

대구 산성산으로..청룡산으로..비슬산을 올라..청도 용천사로 하산한 기억의 비슬은..

그저 그랬던것 같다..

그래서 솔찍히 잊고 지냈으나..

현풍에서..대견사로..대견봉으로..수차래 올라보니..

이제야..비슬산을 제대로 알겠다..

4월..참꽃이 필때를 기약해 본다..